농업연구사란?
농업연구사는 대한민국 농업 발전을 위해 각종 품종개발은 물론 재배기술 개발, 친환경기술 개발, 바이오에너지, 기능성 등을 연구하는 대한민국 7급 농업직 공무원을 의미하며, 일반적인 농업직 공무원이 담당하는 행정업무나 단속업무와 달리 농업연구사는 오직 기술개발 및 연구와 관련한 업무만을 담당하게 됩니다.
국가직의 경우 농촌진흥청 및 농업과학기술원 등의 산하기관 또는 시험장에서 근무하게 되며, 지방직의 경우 각 시도 농업기술원 및 농업기술센터, 그리고 농업기술원 산하 시험장에서 근무하게 되는데, 유사 직렬 가운데 하나인 농촌지도사가 8급 기술직에 해당되는 반면 농업연구사는 7급 연구직에 해당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1~9급으로 나뉘어 지는 공무원 체계와 달리 "연구사"와 "연구관" 이라는 두가지 직급으로 나뉘어 지게 됩니다.
최초 부임하게 되는 연구사 직급은 6~7급에 준하지만 이후 연구관으로 승진할 경우 4~5급 공무원에 준하는 대우를 받게 되는데, 특히 농업연구사는 석사 2년의 시간을 관련 경력(호봉 계산시)으로 인정해 주기 때문에 만약 대학교 재학중에 연구사 시험에 합격하지 못한 경우 대학원에 진학하는 것도 결코 나쁘지 않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1. 농촌진흥청
2. 국립농업과학원 : 농업환경부, 농업생물부, 농산물안전성부, 한식세계화연구단, 농업생명자원부, 농업공학부
3. 국립식량과학원 : 벼맥류부, 기능성작물부, 고령지농업연구센터
4.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원예작물부, 인삼특작부,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감귤시험장
5. 국립축산과학원 : 제주출장소
농업연구사의 기술개발 및 연구방향
농업연구사는 매해 달라지는 농촌진흥청의 연간 업무계획에 따라 대한민국 농업 산업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개발 업무를 담당해온 바 있습니다. 특히 먹거리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지난 2005년 부터는 꾸준히 친환경 기술의 개발에 힘써온 바 있으며, 농업경쟁력의 향상을 위한 종자산업의 육성 및 미래 신성장 동력의 발굴 등의 성과를 일궈 내기도 하였습니다.
업무성과 | 업무성과 |
---|---|
국가 농업 생명공학기술 종합육성 | 농업 생물자원 다양성 확보 및 정보 구축 |
산업곤충 및 녹색경관 이용 기술 개발 | 무인자동화 및 동·식물 생산공장 시스템 개발 |
기후변화 대응 미래농업 기술 개발 | 식량 안정생산·경쟁력 제고 기술 개발 |
원예·특용작물 경쟁력 제고 기술 개발 | 축산업 경쟁력 제고 기술 개발 |
국내외 현장 기술적용 촉진 및 경영·마케팅 기술 개발 | 사료비 절감을 위한 조사료 생산·이용 기술 개발 |
친환경·자원순환 농업 기술 개발 | 에너지 절감 기술 및 바이오에너지 개발 |
농식품 안전성 관리 기술 개발 | 신기능성 농식품 및 부가가치 향상 기술 개발 |
농업과학기술개발사업 주요연구성과
아래에서는 농촌진흥청이 공개하는 지난 10년간의 농업과학기술 개발사업에 관한 주요 연구성과들을 다운로드 하시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행정사업 및 복지사업을 제외한 분야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농업연구사들의 과거 업무내용들을 참고함으로써 농업연구업의 지나온 흐름과 앞으로의 방향을 예상해 볼 수 있으니 가급적 참고하여 읽어보시기를 바랍니다.
2012년도 연구성과 | 2011년도 연구성과 | 2010년도 연구성과 | 2009년도 연구성과 | 2008년도 연구성과 |
2007년도 연구성과 | 2006년도 연구성과 | 2005년도 연구성과 | 2004년도 연구성과 | 2003년도 연구성과 |
농업연구사의 복리후생제도
7급 공무원에 해당하는 건축직공무원에게는 각각 노후생활보장, 주거안정, 후생복지에 해당하는 다음의 복리후생이 적용되며, 최근에는 공무원의 복리후생 및 근무여건, 각종 수당 등 다양한 처우가 개선되어 많은 분들이 공무원 진출을 희망하고 있는 상항입니다.
노후생활보장
- 퇴직 연금 : 재직 기간별로 누진(장기 근속자 우대)
- 5년 ~ 20년 미만 : 퇴직 일시금으로 지급(보수 월액의 7.5배~33배)
- 20년 ~ 33년 : 퇴직연금지급(보수 월액의 50~76%), 퇴직 연금 일시금으로 지급(보수 월액3~58.74배)
- 퇴직 수당 : 퇴직 연금외 지급, 보수 월액 × 재직년수 ×(재직년수에 따라 10×16%)
주거안정
- 주택자금 대부 : 국민은행을 통해 2,500만원까지 융자 알선
- 전세자금 대부 : 국민은행을 통해 700 ~ 1,300만원까지 연금 대부
- 임대주택 운영 : 15 ~ 25평
후생복지
- 국비로 대학교,외국 유학의 기회가 제공됨
- 중.고 자녀 학자금 전액 보조, 대학 자녀 국고 대여 장학금 무이자 대여 및 자체 장학금 지급
- 근속연수에 따라 연간 7일에서 23일까지 본인이 필요한 시기에 휴가 실시

농업연구사 안내
농업연구사는 대한민국 농업 발전을 위해 각종 품종개발은 물론 재배기술 개발, 친환경기술 개발 등을 연구하는 대한민국 7급 농업직 공무원을 의미하며, 일반적인 농업직 공무원과 달리 기술개발 및 연구와 관련한 업무만을 담당하게 됩니다.
주요근무처
1. 농촌진흥청 및 각 시도 농업기술센터
2. 국립농업과학원 : 농업환경부, 농업생물부 외
3. 국립식량과학원 : 기능성작물부, 고령지농업연구센터 외
4.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원예작물부, 감귤시험장 외
시험응시안내
시험일정 : 매년 1회 실시예정
시험과목 : 국어, 영어, 한국사, 생물학개론 등 7과목
시험장소 : 각 공고에 따른 시험장소
합격기준 : 1차 필기시험 / 2차 면접시험
시험시행처 안내
시험주관처 : 농촌진흥청 (031-299-2200)
소관부처명 : 운영지원과 (031-299-2948)